y.developer
[TIL] Day 42 Boolean() 함수와 !!(논리 이중부정 연산자) 본문
728x90
2023.12.01 금
조건문을 통해서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서 Boolean으로 나타내야 할 때가 있다.
그때마다 비교연산자를 쓰려니까 너무 비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조건문에 바로 Boolean 타입으로 변환하여 작성하는 방법을 찾게되었다.
1. Boolean() 함수
인자를 명시적으로 불리언으로 변환한다.
어떠한 값이 주어지면, 이를 불리언 값으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const value = "Hello";
const booleanResult = Boolean(value);
console.log(booleanResult); // true
2. !! (논리 이중부정 연산자)
변수나 값을 강제로 불리언으로 변환시킨다.
해당 값이 참인지 거짓인지 명확하게 확인할 때 사용한다.
const value = "Hello";
const booleanResult = !!value;
console.log(booleanResult); // true
활용 예시
변수 또는 값이 참인지 거짓인지 명확하게 확인이 필요할 때,
Boolean() 함수 또는 !! 연산자는 조건문에서 변수 또는 값을 명시적으로 불리언으로 변환할 때 유용하다.
특히 조건문에서 변수나 값이 참 또는 거짓인지 확인할 때 간결하고 가독성 있게 사용됩니다.
const userInput = "Some value";
// 사용 사례 1: 조건문에서의 사용
if (Boolean(userInput)) {
console.log("User input is truthy");
} else {
console.log("User input is falsy");
}
// 사용 사례 2: !! 연산자를 사용한 명시적인 불리언 변환
const isTruthy = !!userInput;
console.log(isTruthy); // true
하루를 마치며
조건부 렌더링을 자주 사용하면서 논리 부정 연산자(!)와 논리 이중부정 연산자(!!)를 많이 사용했다.
하지만 어떻게 작동하는지 감은 있었지만, 정확하게는 알지 못했다.
이번 기회에 어떤 값이 나오는지 하나씩 console.log를 찍어보며 확인하며 어떤 연산자를 사용했을 때 내가 원하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앞으로 조건문을 작성할 때 크게 헷갈리거나 생각을 길게 할 필요 없이 바로 원하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의 한 줄
성공과 실패가 아닌,
성공과 과정만 있을 뿐이다.
728x90